[[중국연구 출판]]극중지계 2 경제편: 한국의 거대 중국 극복하기(2021)





도서 구매하기 CLICK


도서 정보

저자: 정덕구 외 지음. 니어재단 편저

출판사: 김영사

출판일: 2021년 8월 23일 

ISBN: 9788934984887


도서 소개
극중지계 2권. 대한민국 대표 중국 싱크탱크 니어재단과 당대 최고의 중국 경제 전문가들이 2년에 걸친 기획과 탐구, 토론으로 완성한 생존, 자강, 국익의 길. 미중 간 전략적 경쟁은 패권경쟁 양상을 띠고 있고, 점차 체제와 가치 전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중국의 팽창주의적 굴기는 우리에게 중대한 위협이 되고 있다. 기존의 미국적 패권 질서에 편입되어 있던 상황을 위협하고, 중국적 질서와 가치, 중국의 국익을 강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강성대국 중국을 극복하기 위한 비방서로서의, 극중지계(克中之計)인 책. 이 책은 시진핑식 노선이 우리의 주권과 생존권을 어떻게 흔들어놓을지 주시하면서 충돌이나 예속이 아닌 공생의 관계 방정식을 찾아 나간다. 거대한 전환의 시대에 재앙으로 빠지지 않고, 변화를 기회를 바꾸는 방안을 제시한다.


목 차
  • 책머리에_ 이제 중국을 매의 눈으로 바라본다
  • 프롤로그_ 중국 경제의 용틀임과 한국의 생존 방정식

    [1부 미중 간 신냉전 속 한국 경제의 생존 방정식]
  • 1장 미중 간 신냉전, 미중 패권경쟁
    중국의 부상, 미국의 중국 때리기
    미국식 자유자본주의 대 중국식 국가자본주의
    시진핑식 중국 특색 사회주의 경제운영 체제
     미국과 중국의 충돌 지점
  • 2장 초강수로 치닫는 미중 마찰, 중국은 4개의 함정을 극복할 수 있을까
    중국 경제는 미국 경제를 추월할 수 있을까
    투키디데스 함정과 팍스 시니카
    중진국 함정
     체제의 위험: 타키투스 함정과 킨들버거 함정
  • 3장 중국의 급부상과 기로에 선 한국 경제
    한국의 3가지 생존전략 시나리오
    중국 경제와의 공존적 장기 발전체제

    [2부 미국은 중국 경제 굴기를 막을 수 있을까]
  • 1장 다자주의 체제의 재편: 미국의 중국 중심 무역질서 해체 압박
    WTO 체제 약화와 다자간 블록의 강화
    중국 중심 글로벌 가치사슬의 부상과 미국의 압박
    심화되는 미국의 대중국 압박과 중국의 대응전략
     중국의 ‘홍색공급망’ 전략
  • 2장 미국과 중국의 미래산업 경쟁력
    중국의 산업경쟁력 현주소
    미중 간 데이터 플랫폼 기술전쟁
     미국의 공급망 무력화에 맞선 과학기술 중국몽
  • 3장 미중의 금융ㆍ자본 충돌 가능성, 중국은 버틸 수 있을까
    자본시장 중심으로 전환하는 세계 2위의 중국 금융
    중국 금융 굴기, 달러체제에 대한 도전인가
    중국의 금융시스템 개혁개방과 미중 금융패권의 충돌 가능성
    중국의 금융부실은 통제 가능한가
    위안화는 기축통화가 될 수 있을까
    디지털 위안화가 위안화 국제화의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인가

    [3부 중국 특색 국가자본주의의 등장과 커지는 한중 간 거리]
  • 1장 강한 중국을 위해 설계된 국가자본주의
    공산당 주도의 당-국가 체제
    공산당과의 협력적 꽌시
    리커창 대 시진핑
    계획과 시장을 결합한 따라잡기 전략
    중국의 국가자본주의, 질적 성장에도 효과적인가
  • 2장 변화를 모색하는 중국식 국가자본주의
    중국식 모델은 매력적인가
    베이징 컨센서스의 등장
    2세대 워싱턴 컨센서스
    창의와 혁신이 가능한가
    시진핑 시대의 공산당 집단지도체제
     미중 간 전략적 경쟁이 국가자본주의에 미치는 영향
  • 3장 미중 간 전략적 경쟁 속 더 커지는 한중 간 거리
    서로 다른 자본주의의 교호작용: 잘 관리된 탈동조화
    한국의 선택, 차집합보다 교집합
    한중일 FTA 체결을 서두르는 중국
    EU-중국 투자협정이 주는 시사점
    점점 더 멀어지는 가치의 거리

    [4부 중국 경제와 공생하는 길]
  • 1장 미중 간 선택의 압박, 한국의 전략은?
    미중 무역마찰의 가장 큰 피해자는 한국일까
    미중 무역마찰 대응원칙을 정립하라
    ‘안미경중’에서 ‘안경일체’로 전환을 모색하라
    아태 지역 주도권 경쟁에 대응하라
  • 2장 중국은 한국 산업의 파트너가 될 수 있을까
    한국 산업의 생존 방정식, 산업생태계의 복원
     신성장 산업의 한중 협력 확대 및 협력 플랫폼 강화
  • 3장 중국발 금융환경 변화의 위협에서 한국 금융은 자유로운가
    중국발 금융위기의 선제 대응전략
    원화의 국제화 추진으로 위안화 블록 편입 예방
    디지털금융의 표준화와 국경 간 지급결제시스템의 대비
     한중 금융협력의 새로운 의제



출판사 서평


미중 간 전략적 경쟁은 패권경쟁 양상을 띠고 있고, 점차 체제와 가치 전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중국의 팽창주의적 굴기는 우리에게 중대한 위협이 되고 있다. 기존의 미국적 패권 질서에 편입되어 있던 상황을 위협하고, 중국적 질서와 가치, 중국의 국익을 강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강성 팽창된 국력을 바탕으로 한국을 내려다보며, 숨겨온 발톱을 내보이고 있는 중국. 이 책은 중국의 부상과 한반도를 둘러싼 역학관계의 변화와 이에 따른 위기 가능성을 가감 없이 드러내 분석한다. 한국의 새로운 생존 방정식을 모색한다. 왜 미국과 중국이 한판 붙을 수밖에 없는지, 중국 국가자본주의와 과학기술 중국몽의 실체가 무엇인지, 시진핑식 중국 특색 사회주의 체제의 불편한 진실이 무엇인지 말한다. 한국이 미래산업에서 중국과의 경쟁을 감당할 수 있을지 분석하고 대안을 강구한다. 과거의 미숙하고 단편적이었던 대응 사례를 복기하며 교훈을 추출한다.

한마디로 이 책은 강성대국 중국을 극복하기 위한 비방서로서의, 극중지계(克中之計)인 것이다. 이 책은 시진핑식 노선이 우리의 주권과 생존권을 어떻게 흔들어놓을지 주시하면서 충돌이나 예속이 아닌 공생의 관계 방정식을 찾아 나간다. 거대한 전환의 시대에 재앙으로 빠지지 않고, 변화를 기회를 바꾸는 방안을 제시한다.

중국, 그 난해한 용틀임과 한국의 생존 방정식.
한국 경제가 강성대국 중국의 파고를 극복하고,
공존을 위한 생존 방정식을 풀어나가기 위한 비법서.

미중의 목숨 건 충돌 속에 미중 신냉전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코로나19 재앙과 미중 충돌은 한국 경제를 거대한 전환기로 몰아가고 있다. 그동안 유지되어온 한중 간의 보완적 생존관계, 산업관계는 더 이상 지속되기 어렵다. 새로운 관계 방정식으로 전환될 수밖에 없다. 미중 사이에서 한국이 받들어온 안미경중(安美經中) 전략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지속적으로 확대된 한중 간 국력의 비대칭성은 대중 관계에서 한국의 입지를 더욱 약화시키고 있다. 시진핑식 중국 특색 사회주의 노선에 따라 중국은 한국에 복속주의적 관계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시진핑 주석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중국몽 드라이브와 미중 충돌에 대비한 쌍순환 전략은 글로벌 가치사슬 내부관계에서 한국의 위치를 크게 위축시킬 수 있다.

중국의 굴기 의식은 전통적 대국 외교와 해륙 외교로 드러나고 있다.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현란하고 난해한 외교 행보를 하고 있다. 강성 팽창된 국력을 바탕으로 한국을 내려다보며, 숨겨온 발톱을 내보이고 있다. 이 책은 중국의 부상과 한반도를 둘러싼 역학관계 변화에 따른 위기 가능성을 가감 없이 종합 분석하고, 한국의 새로운 생존 방정식을 모색한다. 강성대국 중국을 극복하기 위한 비방서로서, 극중지계인 것이다.

중국 경제는 미래에도 계속 순항할 것인가? 중국의 굴기는 미국과 동맹국들의 견제와 포위망을 뚫고 계속 전진할 것인가? 시진핑 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는 중국 경제를 발전시키고 중국을 강성한 나라로 이끌기 위한 이념적 기초가 될 것인가? 중국식 국가자본주의는 높은 생산성과 분배 정의를 실현할 것인가? 시진핑식 과학기술 중국몽은 중국을 세계 1위의 과학기술력을 가진 나라로 발전시키고 미국과의 과학기술 신냉전을 승리로 이끌 것인가? 시진핑 주석의 리더십이 미중 간 신냉전을 극복하고 중국의 발전단계상 불가피하게 넘어서야 할 함정들을 무난히 넘어설 수 있을 것인가? 이 과정에서 중국 인민들은 고통을 감내하고 애국심으로 모든 것을 극복할 의지가 있는가?

이 같은 질문 속에 중국 경제의 미래가 담겨 있다. 동시에 우리의 미래 또한 이 질문들에 연관되어 있다. 그 질문에 대한 답과 미래를 보다 정확히 예측하고 중장기적인 전략을 찾아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국 경제의 전략과 미래를 예측하는 데 있어 오차를 얼마나 줄일 수 있을 것인가가 과제인 것이다.

이 책은 “시진핑식 노선이 우리의 주권과 생존권을 어떻게 흔들어놓을지 매의 눈으로 주시”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한중 간 교집합을 찾아 국익을 극대화할 공생의 관계 방정식을 찾아간다. 이 과정에서 점을 넘어 선으로, 선에서 면으로, 다시 입체로 집대성하려 최선을” 다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중국의 팽창주의적 굴기와 미중 충돌, 재앙이 되게 할 것인가 기회로 바꿀 것인가.
한반도의 운명 탐구서이자 대한민국의 생존과 국익을 위한 경제 전략서.

마주 보고 달리는 기차처럼 위험천만한 길을 가고 있는 중국과 미국. 미국이 강력한 대중국 봉쇄정책으로 중국 제조업의 공급망을 무력화하려 하자, 시진핑의 공산당은 과학기술 중국몽으로 맞서고 있다. 미국의 동맹강화 전략과 결사 항전을 선택한 중국의 요구 사이에 낀 대한민국의 터프한 현실. 피할 수 없는 선택의 기로에 선 우리에게 해법은 무엇인가.

미중 간 전략적 경쟁은 패권경쟁 양상을 띠고 있고, 체제와 가치 전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중국의 팽창주의적 굴기는 거대한 위협이 되고 있다. 미국적 패권 질서에 편입되어 있던 우리의 기본 질서를 위협하고, 중국적 질서와 가치, 중국의 국익을 우리에게 강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주권과 생존권을 위협받기 쉽다. 한중 간 국력의 비대칭성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중국이 한국을 바라보는 태도와 자세가 고압적이 되고, 특유의 복속주의적 인식이 수면 위로 부상할지 모른다.

현재 한중 간의 외교는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점차 멀어지고 있는 한중 간 정체성의 거리는 경제 관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를 뚫고 나가려면 실용적 상업주의, 장사꾼 정신이 필수적이다. 정부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노력을 다해야 한다.

이 책은 이 같은 현실에서 우리가 어떻게 최상의 전략적 선택을 내릴 수 있을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고차원ㆍ고난이도의 생존 방정식을 어떻게 풀 것인지, 한중 간 충돌이나 예속이 아닌 공존의 길은 어떻게 가능할지 방안을 탐색한다. 왜 미국과 중국이 한판 붙을 수밖에 없는지, 중국 국가자본주의와 과학기술 중국몽의 실체가 무엇인지, 시진핑식 중국 특색 사회주의 체제의 불편한 진실이 무엇인지 드러내보인다. 중국이 진정 글로벌 경제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 언제 어떻게 가능할지를 중국이 넘어야 할 4개의 함정과 체제 위험을 토대로 예측해보인다.

아울러 중국의 홍색금융망 덫에 걸린 한국 원화의 운명을 진단하면서 한국 금융의 미래준비 방안을 제시한다. 한국 경제의 대중(對中) 의존도는 계속 줄여나가야 하는 것인지, ‘편자의 못’ 반도체가 우리의 영원한 구세주가 될 수 있을 것인지, 한국은 미래산업에서 중국과의 경쟁을 감당할 수 있을지 분석하고 대안을 강구한다. 과거의 미숙하고 단편적이었던 대응 사례를 복기하며 교훈을 추출한다.

이 책의 분석에 의하면 한국 시장은 중국에 대단히 중요하다. 한국의 중간재는 중국 성장의 필수품이고, 한국과 중국은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여전히 상호 중대한 기여를 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중국 경제와의 공존적 발전체제를 위한 해법 모색이 가능하다고 분석한다. 궁극적으로 한중 경제의 공존을 위해 우리가 가진 가능성을 확대하고, ‘안미경중’에서 ‘안경일체(安經一切)’로 전환할 것을 주장한다. 아태지역 주도권 경쟁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일대일로와 인태전략의 병행 방안, 미중 탈동조화에 대비한 가치사슬의 안정화 노력 등을 촉구한다.

확대되어 가는 한중 간 국력의 비대칭성,
중국의 복속주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자강의 길이 생존의 길이다.
자강의 길을 가면서 공존을 모색하라.



책 속으로(짧은 인용)

 바이든 대통령은 대중국 봉쇄정책에 동맹외교를 동원하고 있다. 미국의 힘에만 의존하려던 트럼프와 달리 동맹의 힘을 규합하고 중국의 고립을 추구한다. 그리고 중국의 취약점을 집중적으로 공격한다. 미국이 중국 제조업의 공급망을 무력화하려 하자 시진핑 공산당은 과학기술 중국몽으로 맞선다.
--- p.9

시진핑 주석은 이번 미중 충돌이 중국의 발흥을 위해 100년 만에 한 번 올까 말까 한 천재일우의 기회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압박이 중국을 자력갱생의 길로 내몰고 있으니 과학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해 모든 것을 걸고 결사 항전하자고 독려한다. 이를 위해 핵심기술의 자주적 통제와 혁신주도권, 발전주도권을 장악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중국은 장기전에 기대를 거는 것 같다. 그리고 시진핑의 장기집권 필요성을 이와 연결하려 한다.
--- p.9-10

미중 충돌과 신냉전이 한국 경제에 크나큰 위협이 될 것은 자명하다. 그리고 한국은 낀 존재가 되어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될 것이다. 앞으로 이 상황이 기회가 될지 위기가 될지는 우리의 전략적 선택에 달렸다. 전략선택과 유연한 대응자세 그리고 정확한 국익 계산이 관건이 될 것이다.
--- p.11

중국은 한국을 미국의 동맹외교에 있어서 가장 약한 고리로 보고 중국 으로 강력하게 견인하려 할 것이다. 이러한 냉혹한 현실 앞에서 이제 우리는 중국의 힘과 생각 그리고 미래 전략을 있는 그대로 소상히 알아야 한다. 그리고 이에 대해 우리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투영해보고 생존전략을 재구성해야 한다.
--- p.11

중국 경제에 대한 예속을 피하려면 중국 없이도 생존할 수 있는 만큼의 독자 생존력을 갖춰야 하고 중국이 우리를 함부로 대하지 못할 만큼 한국이 중국의 필수국가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국가 정체성을 확고히 지키고 도덕적ㆍ윤리적 우월성을 확보해야 한다. 비록 국력은 상대적으로 작아도 국격은 중국보다 높게 대우받는 나라가 되어야 한다.
--- p.14

공존의 조건은 자강론이다. 우리도 결사 항전해야 한다. 심화되는 국력의 차이를 군사력ㆍ외교력ㆍ경제력 보강으로 어느 정도 막아나가면서, 깃털이 같은 새끼리 동맹하고 연합하여 대응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경제면에서 기술력, 생산성을 중국보다 어느 정도 격차를 높게 유지하지 않으면 중국과 공존할 수 없다.
--- p.14

NEAR재단이 중국 연구에 몰두해온 지난 15년 동안 그 어깨에 올려진 무거운 짐은 국적 있는 중국 연구를 집대성하는 것이었다. 이 책은 모든 난관을 극복해가면서 중국을 입체적ㆍ동태적으로 바라보며 그들의 본심을 파고든다.
--- p.17

시진핑식 중국 특색 사회주의 노선이 우리의 주권과 생존권을 어떻게 흔들어놓을지 매의 눈을 가지고 주시한다. 그러면서도 한중 간의 교집합을 찾아 국익을 극대화할 공생의 관계 방정식을 찾아간다. 이 과정에서 점을 넘어 선을 이루고 선을 면으로 다시 입체로 집대성하려고 최선을 다했다.
--- p.17

시진핑 체제는 거대 중국을 어떻게 바꾸어놓을 것인가? 많은 예측 오차가 존재하겠지만 시진핑 체제가 오래 지속될수록 중국이 지난 40여 년간 추구해온 중국의 새로운 길, 즉 대륙국가에서 해양국가로, 하드파워 국가에서 소프트파워 국가로 이행하는 중국의 방향성은 주춤거리게 될 것이다. 그리고 다시 대륙적 하드파워 국가로 갇히게 될 가능성이 크다.
--- p.33

분명한 것은 중국의 주체는 공산당이며 이미 연성체제에서 경성체제로 굳어가고 있다는 점이다. 국민이 국가의 주체에서 객체로 완전히 내려앉고 있는 것이다. 또한 국가자본주의가 부패와 부실을 만연하게 하고 분배는 더욱 악화되며 인권 상황은 최악의 수준으로 내려앉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무엇보다도 미래 중국이 넘어서야 할 4개의 함정을 벗어나야 하는 시진핑의 중국은 더 높은 허들을 만나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 p.33-34

중국은 제조업의 융성기를 만들어냈다. 그들이 보기에 이제는 더 이상 한국에게서 배울 것이 없어졌다. 충분히 추격했고 상당히 추월했다. 반도체 등 몇몇 핵심부문을 제외하고 중국은 한국에 크게 아쉬울 것이 없어졌다. 시진핑 체제에 들어서면서 민주화된 한국 정치와 사회, K-문화, 예술은 중국 특색 사회주의 노선 앞에서 눈엣가시가 되고 강력한 공산주의 통치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더욱이 미중 충돌이 심화되고 미국의 동맹외교가 강화되면서 한국은 미국의 대중국 포위망의 전진기지처럼 되어가고 있다.
--- p.37-38

미국 행정부는 ‘중국몽’을 자국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했고 즉시 대응전략을 모색했다. 먼저 시진핑 지도부의 야심 찬 중장기 발전 목표 제시를 미국의 경제 및 기술패권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했고,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특히 ‘중국제조 2025’를 필두로 하는 중국의 제조 강국 전략을 미국의 기술패권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했다. 동시에 5G 시대의 주도권과 표준 경쟁에서 시작하여 미국의 안보를 명분으로 반도체와 AI에 이어 ‘청정 네트워크’ 구축 등 미래산업을 주도하는 신산업 분야에서 중국 포위 및 배제 전략을 구사했다.
--- p.151

앞으로 진행될 미중 무역전쟁 속에서 한국의 독자적 통상정책의 여지는 있는가? 어떤 전략을 모색해야 하는가? 일단 미국 정부의 중국 기업에 대한 제한 강화가 지속될 것이라는 점에서 먼저 중국과의 다양한 연결점을 재검토하여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무조건 줄이자는 의미가 아니다. 미국 정부가 제재를 가하는 중국 기업과는 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줄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 p.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