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싱크탱크로 15년간 동북아 지역 연구… 향후 아시아·태평양 7국으로 범위 넓힐 것” (조선일보, 2022/6/23)
정덕구 니어재단 이사장. /장련성 기자
중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니어(NEAR)재단이 올해 창설 15주년을 맞았다. 정덕구(74) 재단 이사장은 22일 “국책 연구기관이나 대기업 산하 연구소 같은 탄탄한 재정적 뒷받침을 받지 않는 순수 민간의 독립 싱크탱크가 15년씩 버틴 경우는 니어재단이 유일하다”며 “15년 전 성공을 의심했던 사람들이 지금은 다들 기적이라 한다”고 했다.
정통 경제 관료 출신인 정 이사장은 1997년 외환 위기 때 국제통화기금(IMF) 협상 수석대표를 맡았고 김대중 정부에서 산업자원부 장관을 지냈다. 공직을 마친 뒤엔 중국 초청으로 베이징대, 런민대, 사회과학원에서 강의·연구했다.
정 이사장은 “중국이 나를 부른 건 외환 위기를 맞지 않기 위해서였다. 중국 당국의 주선으로 만난 석학·관료 45명은 한결같이 미국을 이기기 위해 한국을 배운다는 눈빛이었다. 그들의 궁극적 목표는 중화민족주의였다. 그 속내를 읽고 간담이 서늘했다”고 했다. 이때 받은 지적 충격과 두려움이 싱크탱크 창설의 계기가 됐다. 이후 중국의 ‘굴기’(崛起·일어섬)로 동북아 정세가 혼돈에 빠지는 것을 지켜본 정 이사장은 2007년 여당 비례대표 의원직을 던지고 니어재단을 세웠다.
정부 예산이나 대기업 후원금 없이 재단을 운영하려면 차별화가 필요했다. 상설 조직을 최소화하고 연구 프로젝트에 따라 ‘헤쳐 모여’ 식으로 팀을 꾸렸다. 인하우스(직속) 연구원이 많아지면 연구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게 정 이사장의 지론이다. 아무리 조직을 슬림화해도 후원은 받아야 했다. 정 이사장은 “초창기엔 재벌들도 만나봤지만 관심 없더라. 나라 걱정 많이 하고 중국·북한을 경계하는 중소·중견기업 창업주들의 도움으로 지금까지 버텼다”고 했다.
니어재단엔 ‘프로젝트가 끝나면 보고서가 아니라 책을 낸다’는 원칙이 있다. 정 이사장은 “제한된 사람들만 들춰보는 보고서는 쓸모없다. 시장에서 안 통하는 연구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지금까지 재단에서 발간한 책이 19권, 이 가운데 6권이 1만부 이상 팔렸다”고 했다.
정 이사장은 “앞으로는 한·미·중·일에 편중된 연구에 러시아·인도·호주를 더해 아시아·태평양의 7국을 중점 연구하는 게 목표”라며 “재단을 키우면서 느끼는 희열이 삶의 원동력이었다. 나의 꿈은 내가 죽을 때도 니어재단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했다.
“민간 싱크탱크로 15년간 동북아 지역 연구… 향후 아시아·태평양 7국으로 범위 넓힐 것” (조선일보, 2022/6/23)
정덕구 니어재단 이사장. /장련성 기자
중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니어(NEAR)재단이 올해 창설 15주년을 맞았다. 정덕구(74) 재단 이사장은 22일 “국책 연구기관이나 대기업 산하 연구소 같은 탄탄한 재정적 뒷받침을 받지 않는 순수 민간의 독립 싱크탱크가 15년씩 버틴 경우는 니어재단이 유일하다”며 “15년 전 성공을 의심했던 사람들이 지금은 다들 기적이라 한다”고 했다.
정통 경제 관료 출신인 정 이사장은 1997년 외환 위기 때 국제통화기금(IMF) 협상 수석대표를 맡았고 김대중 정부에서 산업자원부 장관을 지냈다. 공직을 마친 뒤엔 중국 초청으로 베이징대, 런민대, 사회과학원에서 강의·연구했다.
정 이사장은 “중국이 나를 부른 건 외환 위기를 맞지 않기 위해서였다. 중국 당국의 주선으로 만난 석학·관료 45명은 한결같이 미국을 이기기 위해 한국을 배운다는 눈빛이었다. 그들의 궁극적 목표는 중화민족주의였다. 그 속내를 읽고 간담이 서늘했다”고 했다. 이때 받은 지적 충격과 두려움이 싱크탱크 창설의 계기가 됐다. 이후 중국의 ‘굴기’(崛起·일어섬)로 동북아 정세가 혼돈에 빠지는 것을 지켜본 정 이사장은 2007년 여당 비례대표 의원직을 던지고 니어재단을 세웠다.
정부 예산이나 대기업 후원금 없이 재단을 운영하려면 차별화가 필요했다. 상설 조직을 최소화하고 연구 프로젝트에 따라 ‘헤쳐 모여’ 식으로 팀을 꾸렸다. 인하우스(직속) 연구원이 많아지면 연구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게 정 이사장의 지론이다. 아무리 조직을 슬림화해도 후원은 받아야 했다. 정 이사장은 “초창기엔 재벌들도 만나봤지만 관심 없더라. 나라 걱정 많이 하고 중국·북한을 경계하는 중소·중견기업 창업주들의 도움으로 지금까지 버텼다”고 했다.
니어재단엔 ‘프로젝트가 끝나면 보고서가 아니라 책을 낸다’는 원칙이 있다. 정 이사장은 “제한된 사람들만 들춰보는 보고서는 쓸모없다. 시장에서 안 통하는 연구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지금까지 재단에서 발간한 책이 19권, 이 가운데 6권이 1만부 이상 팔렸다”고 했다.
정 이사장은 “앞으로는 한·미·중·일에 편중된 연구에 러시아·인도·호주를 더해 아시아·태평양의 7국을 중점 연구하는 게 목표”라며 “재단을 키우면서 느끼는 희열이 삶의 원동력이었다. 나의 꿈은 내가 죽을 때도 니어재단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했다.